[Contents]
Part 1 | MVP 기획 (Minimum Viable Product)
01 문제의 정의
02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03 최소한의 기능
04 기능의 속성
05 프로토타입 제작
06 솔루션 정의 / 솔루션(MVP) 검증하기
Part 2 | BM 강화하기
01 비지니스 모델 분석
MVP 기획 (Minimum Viable Product)
1️⃣ 문제의 정의
Design Thinking Process에서 발견한 핵심 문제 -> 정보의 비대칭성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발생된 문제 -> 제품 비교의 번거로움, 화장품 외 피부 정보, 신제품 탐색 이였습니다.
그 중, 제품 비교의 번거로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MVP를 기획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사회의 남녀노소 중 피부고민 한 번이라도 안해본 사람이 있을까요? 추운 겨울 우리의 피부는 건조해집니다. 더운 여름 우리의 피부는 피지가 왕성해지죠. 갑자기 추워진 날씨탓에 건조함을 해결하기 위한 소비자. 생전 나지않는 여드름이 나기 시작한 성인. 30대가 되고 갑자기 눈에 띄는 주름. 외모 관리에 눈을 떠 색조화장품이 궁금한 청소년. 갑자기 비는 것 같은 머리 숱. 이런 각자의 고민들을 해결하기위해 병원(피부과)보다는 화장품을 우선적으로 바꿔보거나 시도해봅니다. 새로운 샴푸를 바꿔본다던지, 새로운 바디로션을 찾아본다던지의 과정을 겪을 것입니다. 제품을 고르기 위해 마주하는 첫 채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지인, 인터넷(블로그, 유튜브), 오프라인 매장 등 다양할 것 입니다.
화장품 시장 수 많은 정보의 비대칭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소비자. 어떤 제품을 골라야할지. 어떤 제품이 나와 맞는지 고민이였을 것 입니다. 이게 맞을까? 다들 좋다는데 나와도 맞겠지 한 번 사볼까? 사보자 세일도 하는데와 같은 심리상태일 것 입니다. 고민이 없는 소비자도 있을 수 있습니다. 민감하지 않은 피부여서 제품을 고르는대에 부담이 없고, 좋은 기능인지에 대한 의구심만 있는 소비자도 있을 수 있죠.
아래는 대한민국 화장품 업체수, 품목수, 생산실적입니다. 무려 한해 생산 제품만 11만개~12만개의 제품의 다양성에서 허우적거립니다.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을 도울 수 있는 프로덕트의 기능을 구상해 보고싶습니다.
현재 화해에서는 소비자의 제품 비교의 PP를 제품 비교 서비스를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내가 썻던 제품을 바탕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닌, 단순 일회성으로 비교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앱을 나갔다가 들어오면 히스토리는 사라지구요. 그래서 소비자가 긍정적으로 경험한 제품을 직접 저장하고, 카테고리별(에센스, 크림, 스킨 등)로 구분하여 비교하는 서비스가 직접적인 구매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부터라도 제품 고민의 첫 시작 채널은 '화해'였으면 좋겠으며, 그 중 제품 비교의 번거로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MVP를 기획해 보겠습니다.
2️⃣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제품 비교의 번거로움 -> 내가 썻던 제품 제품별 비교 가능을 핵심 기능으로 정의하겠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을 제품별 비교를 도와주는 제품별 비교 가능의 기능으로 정의하겠습니다. 우리는 선택을 할 때, 전보다 나은 현명한 선택의 기준을 과거에 일정부분 기준으로 둡니다. 이미 소비자는 과거 제품 경험에 의해서 각자의 기준이 생겼을 것 입니다. 과거에 선택했던 제품보다 더 괜찮은지, 과거에 괜찮았는데 그 제품과 유사한지, 이 제품과 맞지않았는데 피하고싶은 그런 기준들이 저마다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화장품이라는 제품의 특성상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가 어렵고, 최종 선택을 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모됩니다. (그래서 리뷰를 찾아보고 성분을 하나하나 찾아보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모됩니다.)
그래서 핵심 기능의 타이틀을 "내가 썻던 제품 비교", 부제 "My History"로 설정하겠습니다.
Title: 내가 썼던 제품 비교(My History)
3️⃣ 최소한의 기능
1) 내가 썻던 제품 등록 (history)
내가 썻던 제품을 쉽고,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어야합니다. 최대한 UI를 간단하게 하여 등록을 이끌어내야합니다. 마치 네이버와 구글의 검색창 처럼요. 처음 신기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의 요소에는 시간의 지체, 필요성, 복잡성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그 부담과 거부감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간결하고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보여야합니다.
2) 새로운 제품의 등록 (new)
이 기능을 넣는것에 고민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제품 검색탭에서 바로 손쉽게 제품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이 편할까? 그래도 새로운 제품을 등록하는 UI가 따로 있어야할까? 오히려 복잡성만 키우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고객이 제품 '비교'한다는 목적으로 앱을 접속했을 때 따로 검색창에서 끌고오는 것 보다는 새로운 제품도 손쉽게 등록할 수 있는 것이 더욱 간편할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3) 제품 비교 키워드
제품과의 비교를 크게 6가지의 카테고리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크게 가격, 리뷰 키워드, 성분, 화해 별점, 랭킹, 제조사가 있습니다. (카테고리 변경, 추가 카테고리의 필요성이 있다면 1~2가지 까지는 추가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카테고리를 추가한다면, 오히려 비교의 혼란이 올 것 같습니다.) 그리고 키워드를 뽑아내어 한눈에 보여지는 시각화 기능이 중요합니다. 최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비교된 데이터의 결과를 키워드로 나타낼 수 있어야합니다.
화해의 앱의 전반적인 특징이 랭킹, 제품갯수, 화장품 특징 등 정보가 너무 많아서, 결국 고객이 하나하나 읽어보고 비교해야하는 점을 느꼈습니다. 예를들어 기존 제품과 신제품이 있다면 "가격과 성분이 가장 비슷해요." "기능과 가격이 가장 달라요." 처럼 한 눈에 볼 수 있게 키워드를 뽑아내는 기능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4️⃣ 기능의 속성
1) 내가 썻던 제품 등록 / 새로운 제품의 등록
[간편성 : 빠르게 내가 썻던 제품을 등록, 새로운 제품을 간편하게 등록]
- 검색 / 등록 : 검색창만 나타내는 UI, 네이버 첫 화면 처럼 간단하고 빠르게 등록할 수 있는 검색 속성
- 자동완성 : 브랜드, 키워드만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유사한 제품의 종류를 띄어주는 속성
- 추천 검색어 / 최근 검색어 : 추천 검색어와 최근 검색어 2개의 칸으로 구분지어 검색의 도움을 주는 속성
2) 제품 비교 키워드
[핵심 키워드의 시각화]
- 제품 비교의 유사 키워드 : 가격, 리뷰 키워드, 성분, 화해 별점, 랭킹, 제조사 6개의 카테고리로 비교했을 때 3개 이상의 카테고리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졌다면 유사 key word의 특성을 보여주는 기능 -> 구매 추천의 "사세" 의 시각화
- 제품 비교의 차이 키워드 : 가격, 리뷰 키워드, 성분, 화해 별점, 랭킹, 제조사 6개의 카테고리를 비교했을 때 3개 이상의 카테고리에서 차이가 나는 특성이 있다면 차이 key word의 특성을 보여주는 기능 -> 구매 비추천의 "마세"의 시각화
- "사세", "마세" : AI 기반 제품 차이와 유사성을 비교하여 구매를 추천하는 "사세"와 구매를 추천하지않는 "마세"의 정확한 결론 도출
3) 상세 비교
[정보의 정확성, 비교가능성]
- 카테고리별 비교: 가격, 리뷰 키워드, 성분, 화해 별점, 랭킹, 제조사
- 가격 : 할인률(퍼센테이지), 할인 된 가격, 정가
- 리뷰 키워드 : 가장 많은 리뷰키워드 1개, AI 기능을 활용한 리뷰 중 가장 많은 키워드 (정확한 키워드를 뽑아낼 수 있는 속성)
- 성분 : 가장 함량이 많은 성분 1개 (제품 전체 성분 중 가장 많은 성분을 차지하는 상위 성분)
- 화해 별점 : 화해 소비자들이 평가한 총 별점 (별점 5점 기준 현재 별점)
- 랭킹 : 000부분에서 00위 부분별 랭킹 (ex: 에센스 부분 현재 5위 랭킹)
- 제조사 : 화장품 판매사가 아닌 제품 제조사 표기 (판매사와 제조사가 다른 화장품의 특성상 같은 제조사라면 유사할 확률이 올라감)
* 단 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음. 예를들어 성분과 제조사의 카테고리의 비중을 크게 생각하는 고객이라면, 해당 카테고리만 비교할 수 있도록 직접 선택할 수 있음.
5️⃣ 프로토타입 제작
처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 위해서 다양한 툴을 검색해봤습니다. 대체로 피그마, 카카오 오븐, 린스케치, 포토샵 등 다양한 툴을 통해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툴을 배울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저는, 아이패드 전용 앱인 '프로크리에이트'라는 앱을 사용하여 임시방편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직접 노트에 그려본 후, 아이패드에 그려보았습니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때, 과정의 어느 부분 까지 그려야할 지 판단이 서질 않았습니다. 버튼 하나를 누르면 새로운 화면이 나오는데, 그 과정과정을 생략하고 결론의 화면만 그렸던 제작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그 과정을 담는 것이 프로토타입인데 그 속성을 담을 수 없어서 아쉽습니다. 최대한 해당 기능의 최종 화면이라도 담기위해 그려보았습니다. 부족한 실력인데 이해 부탁드립니다.
1) 내가 썻던 제품을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화면창에서 검색어 자동완성기능 (추천검색어, 최근검색어)을 통해 빠르게 제품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2) 제품 등록을 마친 고객은 마이 히스토리 화면에서 분류된 본인의 히스토리 제품을 볼 수 있습니다. 제품등록을 하면 자동으로 클렌징 제품은 클렌징 카테고리로, 크림 제품은 크림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클렌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제품별 비교할 제품(new)을 등록하도록 유도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비교하고싶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위 가장 왼쪽의 화면은 새로운 mvp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직관적으로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화해앱 특징인 정보가 너무많은 극복할 수 있는 간단하고 심플한 ui로 제품의 선택을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유사 키워드와 차이 키워드가 같이 보여지는 화면이지만, 유사하다면 유사 키워드만 보여지고, 차이가 나는 제품이라면 차이 키워드만 나타내는 기능입니다. 6가지 카테고리 중 사용자가 사전에 중요하게 설정한 카테고리를 주요 비교 기준으로 삼아 유사 키워드와 차이 키워드를 보여줍니다. 만약, 비슷한 키워드가 많다면 "사세"의 추천 요약을, 하향 차이가 난다면 "마세"의 추천을 나타낼 것입니다.
2) 비교의 내역을 자세히 보고싶다면 2번째, 3번째 화면으로 상세한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 선택했던 제품과 새로운 제품의 특성을 상세하게 볼 수 있는 ui입니다. 추천 요약기능을 신뢰할 수 없는 고객은 직접 어떤 특징이 다르고 유사한 지를 비교하며 제품 선택에 더욱 자세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구매 추천과 구매 비추천의 기능은 더욱 정교하게 제품의 기능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여 신뢰있는 추천 서비스를 만드는데에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6️⃣ 솔루션 정의 / 솔루션(MVP) 검증하기
1) 솔루션 정의 : 제품 간편 비교 서비스
2) 사용자 시나리오 설정
가설을 위와 같이 도식화 해보았습니다.
첫 번째로 제품 간편 비교 서비스로 소비자가 성공적으로 제품을 선택하여 구매까지 한다면 PP에 도움을 주는 성공적인 서비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설정한 수치에 달성한다면 성공적인 서비스, 달성하지 못한다면 성공적이지 않은 서비스로 간주하겠습니다. 그 기준을 이탈한 고객을 50%로 설정한 이유는 지금 당장 구매 의사는 없지만 미래의 선택을 위해 단순히 제품 탐색의 의사로 앱에 접속하는 소비자또한 절반을 차지할 것 이라고 가설을 세웠습니다.
제품 선택 실패로 이탈을 했던 50% 고객 중 30%의 고객이 재접속 했으며, 그 중 80%가 '화해 쇼핑'에서 구매하는 소비자라면, 구매를 돕는 성공적인 서비스임이라고 시나리오를 세웠습니다.
3) 솔루션 (MVP) 검증하기
📌 실제 구매율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서비스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겠지만, 구매하지 않더라도 재사용하는 고객또한 제품 선택에 도움을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고객을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할 예정이며 재사용의 이유, 사용하지 않은 이유를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일 것 같습니다.
- hwo / how many
- '내가 썻던 제품 비교'를 이용하고 구매까지 도달한 고객 50명 / 이용했지만 구매하지 않은 고객 50명
- '내가 썻던 제품 비교'를 이용하고 자체 몰에서 구매한 고객 50명 / 타사이트에서 구매한 고객 50명
- 내가 썻던 제품 비교'를 이용하고 재사용한 고객 30명 / 다시는 사용하지 않은 고객 30명 - how
- 직접 인터뷰 진행 (최종 구매까지 이어진 고객 대상)
- 서비스 방법을 소개하는 부분의 '신기능 어때요?' 신설 설문 조사 팝업
1) 왜 타사 몰에서 제품을 구매했는지
2)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었는지
3) 이탈한 이유가 무엇인지
4) 왜 재사용하지 않았는지
5) 왜 재사용했는지
6) 이용은 했지만 왜 구매까지 이어지지 않았는지
7) 왜 자체 몰에서 구매했는지
Part 2 | BM 강화하기
1️⃣ 비지니스 모델 분석
화해는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고 있을까요?
화해의 수익구조에는 크게 3가지가 있으며, 2022년 현재 당기 주요 매출 및 영업이익입니다.
1) 광고매출 : 자체 제작·운영 어플리케이션 등에 체험단 운영, 배너광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계약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
2) 커머스매출 : 연결회사가 상품판매를 중개하고 있는 경우, 고객의 구매확정을 통해 환불의무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에 통제가 이전되며, 이 시점에 수익을 인식
3) 상품매출 : 상품 배송이 완료되고, 고객의 구매확정을 통해 환불의무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에 통제가 이전되며, 이 시점에 수익을 인식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를 아래와 같이 작성해 보았습니다. 국내 최대의 리뷰수와 성분을 바탕으로 제공하는 화장품 정보가 핵심 자원이겠습니다. 현재 고객과의 관계는 크게 2가지이며 소비자, 화장품 브랜드사가 있습니다. 핵십 자원을 바탕으로 건전한 화장품 시장 생태계, 시장 정보 비대칭 해결과 같은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비지니스 수익 모델 강화
비지니스 수익 모델 강화를 하기위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조심스럽게 생각해보자면, 현재 화해는 중국 시장을 겨냥으로 온라인 상품몰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중국 진출을 위해 화해를 이용하는 브랜드사로부터 컨설팅수수료, 제품 판매 수수료, 광고 수수료를 받음으로서 수익 모델을 강화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중국 언어에 서툰 한국 브랜드사에게 언어적 해결책, 중국 문화에 맞는 마케팅 컨설팅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비스 분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해의 스케일업 방법과 역량 (6) (1) | 2023.01.30 |
---|---|
'화해'에 대한 데이터 분석 기초 (5) (0) | 2023.01.25 |
'화해'의 프로덕트 성장 전략 (4) (0) | 2023.01.16 |
'화해'의 새로운 기능 구체화 (3) (0) | 2023.01.09 |
피부와 화해하자 '화해' (1) (2) | 2022.12.24 |